공군16 728x90 반응형 골드윈 - 공군 장교 면세 주류 군납 위스키 공군 장교로 근무했을 때 면세 주류 할당량을 다 쓰면서 지냈었다. 면세 주류 할당량 중 위스키와 브랜디의 할당량은 매우 적었는데 시간이 갈수록 할당량이 줄어서 아쉬웠다. 내가 복무할 때는 주로 스카치블루를 샀지만 지금은 골드윈만 구매가 가능하다고 한다. 골드윈은 가격을 고려하면 맛이 꽤 괜찮다고 한다.골드윈은 포장이 참 잘되어 있다. 나는 솔직히 포장 때문에 금속 맛이 날 것 같은 좀 이상한 느낌을 받는데 화려한 포장을 매우 좋게 느끼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다. 2024. 12. 20. 2024년 6월, 공군 제10전투비행단(수원)에 예비군 동원 훈련을 다녀왔다. 글을 쓰는 이유공군 동원 대상 예비군으로 지정되어 제10전투비행단에 예비군을 다녀온 일기를 쓴다.인상 깊었던 것들이번 훈련은 6월에 2박 3일간 진행된 훈련이었다. 내가 군생활을 할 때 선임장교셨던 분이 대대장을 하고 계신 곳이 예비군 훈련을 진행하는 차례였다. 해당 대대는 몇년 전부터 연이 있어서 낯익은 부사관분들이 계셨고 전속 온 후배도 있었다. 아는 사람들이 있는 곳에 가서 예비군 훈련을 받을 수 있다고 느끼니 생기는 안정감 같은 것이 참 좋았다. 훈련은 매번 하던 대로 정해진 것들을 했다. 훈련은 군사기밀(?)이라 기록할 수 없지만 나름(?) 유익했다.생활실 인원들같은 생활실을 쓰는 인원은 예비군을 응소한 순번 대로 8명씩 정해졌다. 이번 예비군 훈련 때 생활실 인원들은 나를 제외하고는 전부 예비.. 2024. 6. 19. 국군의 날 행사 준비 중인가 보다 회사 옥상에 있으면 다양한 비행체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특히 굉장히 많은 수의 비행체를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국군의 날을 연습 중이기 때문이라고 들었다. 공군의 블랙이글스부터 공중급유기, 조기경보기, 여러 전투기 편대 뿐만 아니라 육군의 헬기들도 볼 수 있었다. 사진으로 저 정도 크기이면 굉장히 가까이에서 날아가고 있는 것이다. 전역했는데도 비행단에 있는 것도 아닌데 온갖 비행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내가 판교에 있기 때문이지 않나 싶다. 2023. 9. 18. 전역과 제대의 차이 전역과 제대에 큰 차이가 있음을 최근에 인지하여 의미를 조사하였다. 국립국어원에서 2021년 7월 5일에 답변한 자료가 있었다. 전역의 뜻 군대에서 전역은 현재까지 복무하던 역종에서 다른 종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제대의 뜻 군대에서 제대는 현역복무기한이 지났거나 질병 또는 집안 사정의 사유로 현역에서 해제된 것을 말한다. 참고문서 "전역,제대 차이",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국립국어원,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7월 4일. @원문보기 2023. 3. 20. 개발실 중위 최고참에게 넘겨 주던 것 전산개발실의 중위 최고참에게 넘겨 주던 물건이 있었다. 누군가 예전에 장난으로 시작한 전통이겠지만 내가 다음 중위 최고참에게 넘겨줄 때 까지 있었는데 나노블럭 리자몽을 넘겨줬었다. 그 이후에 한 개의 개발실이 여러 개발실로 나뉘고 나는 전역해서 이런 전통은 없어졌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넘겨주기 전에 추억으로 사진을 찍어뒀었는데 잘 한 것 같다. 그 때 같이 근무한 선후배들과 지금도 종종 보면서 교류하고 있다. 다음에 모이면 이 사진을 같이 봐야겠다. 2023. 2. 20. 대한민국 공군 학사장교의 임관반지 대한민국 공군의 임관반지 대한민국 공군의 임관반지는 임관을 기념하여 해당 기수의 장교들이 사비로 제작하는 반지이다. 대한민국 공군 학사장교의 임관반지는 청순과 성실을 의미하는 사파이어 색상의 반지이다. 언제 임관반지를 제작하는가 일반적으로는 훈련 기간 중에 임관반지 소요 조사가 있고 이 기간에 신청하면 된다. 금반지부터 은바지 등 옵션이 있는데 나는 18K로 했었다. 진열장에 반지를 케이스와 함께 두는데 먼지가 쌓이면 한번씩 청소하면서 그 때의 추억을 다시 떠올리기도 한다. 당시에 나는 지금 아니면 구할 수 없는 한정판이라는 생각에 소대 사진이 함께 담긴 케이스와 피앙새반지도 주문했었다. 사실상 풀옵션으로 주문했다. 여담이지만 케이스의 사진은 교육사령부 홈페이지에 공개 게시된 사진이라 이 글에서 사용해도.. 2023. 2. 13. 공군 장교로 4년 복무하고 예비역 대위로 전역할 때 받는 돈들 공군 장교의 의무복무기간은 3년이지만 나의 경우 군에 조금 더 있고 싶었고 박사과정을 진행 중이라 1년 연장 복무를 했었다. 그래서 4년을 복무하고 예비역 대위로 전역했는데 전역하면 아래와 같은 돈이 나온다. 전역할 때 받는 돈들 군인연금에 냈었던 기여금 퇴직수당 군인공제회에 납입하던 돈 퇴직수당 외에는 다 내가 냈던 돈이고 퇴직수당의 경우 민간과 다르게 5년 미만 복무자는 퇴직금 명목으로 1년에 2일치의 본봉만 주기 때문에 8일치 본봉이 나온다. 본봉은 엄청 낮기 때문에 두자리 수의 퇴직금을 받고 전역을 하게 되는 것이다. 기여금의 경우 국민연금 연계 등으로 다시 내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돈이고 군인공제회에 납입하던 돈은 많이 납인한 경우가 아니라면 별 의미 없는 금액이 나온.. 2023. 2. 6. 연초라서 동원예비군 안내 메일과 문자가 왔다. 이제 나도 동원훈련을 가야 하는 해이다. 예비군 기한은 계급 정년인 만 43세까지지만 동원훈련은 6년 동안 1년마다 2박 3일씩 갔다 오면 된다. 메일과 문자로 안내되는 것은 좋은데 띄어쓰기가 이상하다든지 깨진 글자가 포함되는 등 체계 유지보수가 좀 필요해 보인다. 예산이 없어서 못 한 건지 의문이다. 2023. 1. 31. 전역하니 거주하는 곳 인근의 예비군 분대에 소속되었다. 대한민국의 남성에게는 예비군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특히 나의 경우 장교로 전역하였으니 예비군 기간도 길다. 다행이도 2박3일 동원훈련은 6년차까지이다. 전역하니 며칠 지나지 않아 인근의 예비군 분대에 소속되었다. 나는 내년부터 동원훈련이다. 예비역 공군 장교라고 다른거 없었다. 참고문서 "예비군 교육 훈련시간", 병역이행안내, 병무청, 2018년 4월 27일. @원문보기 2023. 1. 30. 사관학교 교수와 군의과 장교, 치의과 장교의 정년은 만60세이다. 군에서 교수와 의사의 연령정년 군인사법 기준으로 장교 중에 사관학교 교수와 군의과 장교, 치의과 장교의 연령정년은 만60세이다. 누가 사관학교 교수가 되는가?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사관학교 교수가 되는 것은 쉽지 않다. 뛰어난 분들이 사관학교의 교수가 되었고 군과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교육과 연구에 뜻이 있는 사람 교수사관으로 의무복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 계급에 따른 현역정년은 중령이 만 53세, 소령이 만 45세, 대위가 만43세이지만 교수가 되면 만60세로 연령정년이 바뀌기 때문에 군에서 더 근무를 희망하지만 진급의 벽에 부딪힌 사람은 사관학교 교수로 가는 것을 희망하기도 한다. 참고문서 군인사법, 법률 제19078호, 2022년 12월 13일. @원문보기 2023. 1. 28. 공군 장교 복무 때 한식조리기능사 필기에 합격했었다. 한식조리기능사에 응시한 이유 2020년 지게차운전기능사 취득한 이후 '코로나가 창궐한 이 시점에 전공이 아닌 어떤 시험에 응시하면 유익할까?' 하던 중 군에서 지원하는 국가기술자격검정으로 한식조리기능사에 응시할 수 있는 것을 알게되어 도전했었다. 담당 교관은 부사관 분이었다. 성함과 계급이 기억나지 않는다. 공군 군수사령부에 근무했었기 때문에 필기는 새론중학교에서 응시했었고 실기는 부대 내 조리실습장에서 응시했었다. 필기 준비 한식조리기능사 필기에 응시하기 전에 기출문제를 몇회차만 풀었고 그 결과로 턱걸이 합격을 했었다. 필기 시험을 치고 나온 날 택시가 내 차로에 끼어들어서 박아가지고 사고가 났었는데 '합격을 알리는 사고였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실기 준비 문제는 실기였는데 코로나 때문에 실습 교.. 2023. 1. 27. 공군 장교 생활 중에 지게차운전기능사를 취득했었다. 응시한 이유 공군 장교 생활 중에 지게차운전기능사를 취득했었다. 나는 컴퓨터공학을 전공 했기에 인생 살면서 지게차를 사용할 경우는 거의 없지만 호기심 때문에 응시했었다. 필기와 실기 준비 공군에서는 필기와 실기 응시를 위한 교육과 자료를 군에서 담당 교관이 제공해주었는데 마침 2020년 2월 코로나가 대구에 창궐하여 소집교육을 받지는 못 했었다(지금은 집체교육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전역해서 잘 모르겠다). 군수사령부에서 근무했었기 떄문에 필기는 새론중학교에서 응시했고 실기는 같은 기지 내 종합보급창에서 응시했었다. 교관 분은 부사관 분이었다. 필기 때 시험 감독관 분은 신분을 모르겠고 실기 때는 부사관 분과 군무원 분이었다. 시험은 엄격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잘 준비해서 응시해야 한다. 취득 .. 2023. 1. 26. 이전 1 2 다음